본문 바로가기

수소3

중국 <수소산업 발전 중장기 계획 (2021~2035)> 내용 요약 출처 : 신한금융투자 박석중 연구원 ​ ​ 그린수소를 만들겠다는 건 수전해의 기술력을 높여서 생산 단가를 낮추겠다는 전략인듯. 실제로 수소경제가 활성화 되지 못하는 두가지 이유는 1. 친환경 수소(특히 그린)를 대량으로 많이 못만든다는거 2. 그리고 그렇게 생산된 수소의 kg당 단가가 너무 높다는 것. ​ 결국 수소 생산에 포커스를 맞추겠다는 뜻으로 보임 ​ ​ - 2025년까지 수소 에너지 관련 핵심 기술과 제조 공법 확보 - 수소 연료전지차 보유량 5만대로 확대(현재 약 8천대 수준) - 그린수소 생산량 연간 10~20만톤, CO2 배출량 연간 100~200만톤 감축 - 2030년까지 수소 에너지 밸류체인, 그린수소 공급 시스템 구축 - 2035년까지 다양한 수소 에너지 응용 생태계 구축, 그린수소의.. 2022. 3. 23.
세계 속의 K-수소(a.k.a 든-든) ③ 지난 번에는 미국, 중국, 일본, 유럽의 수소 경제 근황을 알아 보았습니다. 이번 편에는 각 나라에서 수소경제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어떻게 노력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바로 보실까요? :: 이전 글! >> 내가 그린수소 그림, 대체 '그린 수소'가 뭐길래? ① 보러가기!! >> 大 수소 시대! 세계의 수소경제 근황을 알아보자 ② 보러가기!! 1. 한국의 수소 정책 정부는 2018년 8월 '혁신성장전략투자방향'에서 수소경제를 3대 투자 분야 중 하나로 선정했습니다. '수소경제추진 위원회'를 구성한데 이어 2019년 1월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마련했습니다. 수소차와 연료전지를 두 축으로 세계 최고수준의 수소경제 선도국가로 도약하는 비전과 계획을 담았습니다. 2019년 1월, 정부는 '2019년 에너.. 2020. 12. 26.
내가 그린수소 그림, 대체 '그린 수소'가 뭐길래? ① 최근, 문재인 정부에서는 앞으로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석유와 석탄 같은 화석연료 사용량에 세금을 부과하는 ‘탄소세’ 도입을 공식적으로 언급했습니다.. 갑자기 뜬금없는 탄소가지고 웬 세금? 이라고 생각하시는 분들도 계시겠지만, 사실 지난 2015년에 UN의 195개 가입국이 비준한 이른 바 '파리기후변화협정'에 의해 각 국가가 자발적으로 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노력 중 하나입니다. 기후 온난화의 주된 요인인 탄소 배출량 감소를 위해, 화석연료를 많이 사용하는 등의 탄소 과배출 기업에게는 그만큼의 세금을 더 징수하겠다는 내용이 '탄소세'의 주된 골자입니다. 물론, 현재 코로나19 등 다양한 글로벌이슈가 발생해 어려움이 많은 것 또한 사실이지만, 미국, 중국을 포함한 대부분의 국가들이 2030년까지는 일정.. 2020. 12.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