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관심사3

공공데이터 품질 진단 기본교육 강의 들으며 정리 1. 데이터 품질 진단이란? -. 우리가 원하지 않는, 예상하지 못한 값이 DB에 존재할 경우 그것을 찾아내는 행위 -. 왜 해야 하는가? : 데이터 발생 및 가공 단계에서 충분한 품질 검사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문제 발생 후 혹은 데이터 사용 시점에 오류데이터를 확인하여 수정하려는 시도가 많음. -. 왜 품질 오류가 일어나는가 ? : DB 입력(수집), 저장, 가공 등 전 단계에서 사람의 실수 또는 시스템적 오류가 발생했을 경우. -. 기대효과 : ①업무 생산성, 운영 효율화 ②품질 진단에 들어가는 비용보다 품질 관리를 함으로써 아낄 비용이 더 큼 ▷ 2021년 기준으로는 12+4개 기준으로 진행 됨(범정부 데이터 품질 진단기준) 1) 데이터 진단 종류 : 도메인 진단 / 업무규칙 진단 / 참조관계.. 2021. 7. 22.
데이터 표준 관련 공부하다 키워드 공부중 - Entity(엔터티) 1. 엔터티(Entity) - 정의 : 실체, 객체라는 의미로 실무에서는 엔터티라고 부름 - 데이터를 관리하는 데 있어 필요한 정보 요소들을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일종이 집합 ex) 학생 이라는 엔터티는, 학번 / 이름 / 학점 / 등록일자 / 생일 / 전공 등의 속성으로 정의됨 - 엔터티는 사람 / 장소 / 물건 / 사건 / 개념 등의 명사를 주로 사용한다. - 업무 상 관리가 필요한 관심사를 지정하여 정의할 수 있다. - 엔터티는 저장이 되기 위한 어떤 것(thing) 이다. - 분류 (예시는 같음) 1) 유무형 : 유형엔터티(사원/물품/강사) / 개념엔터티(조직/보험상품) / 사건엔터티(주문/청구/미납) 2) 발생시점에 따른 분류 : 기본엔터티(엔터티와의 관계가 아닌 독립적 생성) / 중심엔터티(.. 2021. 7. 20.
아직도 이런 회사가 있다고? 내가 직접 겪은 레전드 면접 SSUL 후. 면접을 봤습니다. 코로나로 인해 퇴사를 하고, 진짜 취업이 쉽지 않은 시기에 면접을 보러 갔습니다. 장소는 강남, 로펌의 직원채용 면접이었습니다. 인터넷에서만 보던 면접 썰을 제가 경험하게 되어 블로그 각(?) 이 나온 바람에 기쁜(?) 마음에 글을 씁니다. 그리고 저와 같은 피해자가 나오지를 않기를 바라며 이 글을 씁니다. [ 서울, 이곳은 ] 저는 일 평생을 경기도에서 살았습니다. 첫 직장에서 몇 달간 사무실 이전 직전에 마포로 출퇴근을 했던 기억 외에는 서울은 저에게는 철옹성이었고, 미지의 땅이었습니다. 그리고 오늘 서울로 또다시 면접을 보러 갔습니다. 태어나서 처음 가보는 오전의 강남은 그야말로 신비함 그 자체. 뭐가 그렇게 다들 바쁜 걸까요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가 진행되면서 면접 기회.. 2020. 12.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