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다양한 글쓰기/:: [사회,문화]3

그놈의 '우리 말'... 대체 '우리 말'이 뭔데?!! : 기술의 발전으로 알아보는 한글의 역사학 : 한글을 입력하는 기기의 형태 따라 변해 : 변화 된 언어는 사람의 인식과 가치관에 영향 : 언어를 사용하는 것이 아닌 언어는 이해의 수단 몇 일 전, 강원도교육청에서 외래어나 외국어를 섞어 사용하는 ‘외계어’ 수준의 신조어들을 뿌리 뽑겠다며 ‘우리말 바르게 쓰기 운동’을 진행한다는 기사가 업로드 되었습니다. 사실 정부나 공공기관에서 제작하는 홍보물에서조차 '외계어' 수준의 용어들은 수두룩하죠. 'AI 데이터 레터리시 모델학교', '블렌디드 수업', '그린 스마트 미래학교' 등 직관적이지 않고 온갖 형태의 언어들이 섞여있는 기묘한 명칭들이 정부사업이나 공공기관의 프로그램 명칭으로 버젓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언론 대상으로 한 공공기관의 보도자료에도 우리 말의 파.. 2020. 12. 7.
색깔로 알아보는 한국과 중국이 싸우는 이유 얼마 전 중국 관영 매체 환구시보 등에서, 중국식 김치 '파오차이'가 김치의 국제표준이 되었다는 기사가 올라왔습니다. 곧바로 정부와 국내 언론, 그리고 NGO에서는 반대 성명과 함께 빨갛다고 다 김치가 아니라는 식의 캠페인을 진행했죠. 사실, 이 논쟁은 무의미합니다. 김치랑은 관계도 없는 파오차이가 국제표준으로 인정받는다고 해서 김치가 굴욕을 당했다는 것은 지나친 해석에 불과하죠. 이미 한국은 2001년, 국제식품규격위원회(CODEX·코덱스)를 통해 김치는 국제표준으로 전 세계에 인정을 받았습니다. 이처럼 한국과 중국은 과거부터 지금까지 끊임없이 정치/경제/사회/문화적으로 충돌하고 대립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들어서는 젊은 10대~ 30대 청년까지 이어져 온라인 내 네티즌들 끼리도 충돌이 일어나고 있습.. 2020. 12. 5.
코로나19로 인해 경험한 주거경험(HX)의 중요성 세상은 참 빨리 변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는 때때로 우리들의 인식에도 새로운 변화의 바람을 만들고 있습니다. 현대사회가 고도화되면서 기술과 혁신, 그리고 세계화라는 단어가 널리 사용되면서, 우리의 삶은 정말 혁명적으로 변화 해왔습니다. 또한 그중에 일어난 예상치 못한 사건들도 우리 생활속의 영향을 미쳤는데요. 작년 말부터 창궐한 COVID-19로 인해, 6.25 이후 70년간 앞만 보고 달려왔던 한국사회는 잠시 숨고르기에 들어갔습니다. 학생들은 온라인 수업을 듣고, 기업들은 재택근무를 시작했습니다. 또한 다양한 산업의 비대면 서비스가 도입되는 등, 이른 바 「코로나와 함께하는 삶」을 조금씩 준비하고 있습니다. 코로나로 인해 그동안 당연시 여기던 것들을 다시 생각해보는 시간을 갖게 된 것이죠. .. 2020. 12.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