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공데이터2

공공데이터 품질 진단 기본교육 강의 들으며 정리 1. 데이터 품질 진단이란? -. 우리가 원하지 않는, 예상하지 못한 값이 DB에 존재할 경우 그것을 찾아내는 행위 -. 왜 해야 하는가? : 데이터 발생 및 가공 단계에서 충분한 품질 검사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문제 발생 후 혹은 데이터 사용 시점에 오류데이터를 확인하여 수정하려는 시도가 많음. -. 왜 품질 오류가 일어나는가 ? : DB 입력(수집), 저장, 가공 등 전 단계에서 사람의 실수 또는 시스템적 오류가 발생했을 경우. -. 기대효과 : ①업무 생산성, 운영 효율화 ②품질 진단에 들어가는 비용보다 품질 관리를 함으로써 아낄 비용이 더 큼 ▷ 2021년 기준으로는 12+4개 기준으로 진행 됨(범정부 데이터 품질 진단기준) 1) 데이터 진단 종류 : 도메인 진단 / 업무규칙 진단 / 참조관계.. 2021. 7. 22.
데이터 표준 관련 공부하다 키워드 공부중 - Entity(엔터티) 1. 엔터티(Entity) - 정의 : 실체, 객체라는 의미로 실무에서는 엔터티라고 부름 - 데이터를 관리하는 데 있어 필요한 정보 요소들을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일종이 집합 ex) 학생 이라는 엔터티는, 학번 / 이름 / 학점 / 등록일자 / 생일 / 전공 등의 속성으로 정의됨 - 엔터티는 사람 / 장소 / 물건 / 사건 / 개념 등의 명사를 주로 사용한다. - 업무 상 관리가 필요한 관심사를 지정하여 정의할 수 있다. - 엔터티는 저장이 되기 위한 어떤 것(thing) 이다. - 분류 (예시는 같음) 1) 유무형 : 유형엔터티(사원/물품/강사) / 개념엔터티(조직/보험상품) / 사건엔터티(주문/청구/미납) 2) 발생시점에 따른 분류 : 기본엔터티(엔터티와의 관계가 아닌 독립적 생성) / 중심엔터티(.. 2021. 7.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