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이야기/:: 기업분석 이야기

[종목분석] 요즘 같은 시기에 강한 세계 1위 화학 기업이 코스피에 있다? '유니드'

방구석 디모네 2022. 3. 15. 18:27

안녕하세요! 디모네입니다.

최근 러시아 이슈로 인해 시장이 더욱 불투명한 상황입니다.

요즘 시장 참 쉽지 않죠...?

 

그래도 열심히 공부해야 

앞으로 시장에 대응 할 수 있을 거라 생각해요!

오늘은 화학 섹터에 있는 종목을 공부해보기로 합시다!

 

 

종목명 : 유니드

종목코드 : 014830

거래소 : 코스피(KOSPI)

업종 : 화학

주가 : 98,200원(22.3.15 기준)

 

※ 이 내용은 종목 리딩이나 매수 추천에 목적이 없고 

기업 학습과 정보 공유에 목적이 있습니다.

내용에 따른 투자의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 뭐하는 회사인가요? (간단한 설명😉)

 

 유니드는 일반 소비자들에게는 다소 생소한 기업일거에요! 특히 화학기업이다보니 일반인들에겐 더 낯선 기업일지도 몰라요! 하지만 유니드는 B2B(기업 대 기업)비즈니스에 있어서 상당히 유명한 회사에요. 대표적으로 반도체·비료·음식·의약·화학·태양광·유리 등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가성칼륨과 탄산칼륨을 제조하는 기업이에요. 

 

 그나마 우리가 알 만한 사용처로는, 유니드에서 만드는 가성칼륨이 우리가 사용하는 알카라인 건전지에도 들어가요. 이외에도 각 산업에 기초재료로 필요한 염산·염소계 제품들을 만들고 있고 그리고 건설·인테리어·가구제작 등에 필요한 MDF판·PVC·원목마루 등의 건자재들을 만들고 있어요.

 

 무엇보다 유니드는 1982년 공장 준공 이후 단 한 분기도 적자를 기록한 적이 없고 실적도 꾸준히 우상향 하고 있는 기업이에요. 요즘 같은 상황에 딱 알맞은 주식이라고 생각해요!😉👍 

 

 

✔️ 왜 이 기업인가요? (기업 선정 이유👍)

 

#탈 탄소 이슈로 가장 혜택을 많이 볼 기업🌍

 유니드에서 만들고 있는 탄산칼륨은 석유·화학업종이나 제조업에서 발생되는 탄소를 포집하는 CCUS 기술(장비)에 꼭 필요한 촉매에요. 탄소포집 기술(CCUS)은 현재 상황에서 가장 현실적인 탄소 감소 방법으로 주목받고 있는 상황이에요. 

 

그리고 이 기술을 활용해서 들어가는 비용이 탄소를 많이 배출했을 때 내게 되는 탄소배출권 금액보다 저렴해 경제적으로도 강점을 갖추고 있어요. 탄소 배출량 감소는 현재 기업의 경영과 생존에 직결되어 있어요. 즉, 탄소포집 기술 활용의 증가는 확정 된 미래라고 볼 수 있어요!

 

# 금리 인상에도 강하고 환율💸에도 강하다!

 최근 미국의 기준금리가 계속 인상되면서 점점 시장에 부담이 되고 있어요. 금리 인상 시기에는 일반적으로 은행과 같이 금리와 직접 연관되어 있거나, 시장에서 독점적 지위를 가지고 있어 제품과 서비스에 가격반영을 할 수 있거나, 부채비율이 낮은 기업을 찾아 투자를 하는게 좋아요. 유니드는 칼륨계 제품 글로벌 점유율 1위를 가지고 있고 부채비율도 낮아요

 

또한 최근 원화 약세로 기업들의 수익성에 빨간불이 켜졌어요. 하지만 유니드는 자체 법인을 포함해 중국 내 자회사까지 포함하면 꾸준히 전체 매출의 90% 가량이 수출로 발생되고 있어요!

 

#심지어 원자재🌾·전쟁💣 이슈에도 강하다?!

 러시아-우크라이나 간 전쟁으로 인해 원자재 가격이 폭등하고 있어요!😱 그러다보니 원자재 공급망 이슈가 기업들에겐 큰 리스크가 되기도 해요. 유니드가 제품을 만드는 데 필요한 염화칼륨은 캐나다·러시아·벨라루스 순으로 매장량이 많은데, 최근 전쟁 이슈로 인해 러시아와 벨라루스의 경제 제재로 인해 벨라루스와 러시아 의존도가 50%에 달하는 브라질·중국·인도 경쟁사들은 공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요. 하지만 유니드는 캐나다에서 100% 수입을 하고 있어요!😎 또한 유니드는 원유를 가지고 제품을 만드는 사업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최근 원유 가격 폭등에 상대적으로 자유롭다는 장점도 가지고 있어요.

 

✔️ 실적은 어떤가요?(실적발표📊)

 

#비수기 기준(4분기) 최대 실적 달성

 2021년 실적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매출은 31%, 영업이익은 22%, 당기순이익은 38%가 증가했어요.😮 하지만 시장 기대치에 비해서는 영업이익이 -32% 가량 하회했어요. 하지만 기업보고서에 따르면, 그 원인으로 실적 증가에 따른 성과급 지급이나 올해 1분기까지 생산 설비 없이 설비 개선을 통해 생산량을 향상시키는 작업(Debottleneck)에 따른 비용 증가로 인해 기대치보다 낮은 영업이익을 기록했다고 하니 확인 해 볼 필요가 있어요!

 

 

✔️ 이 회사 좋은 회사 맞아요?(재무제표💰)

 

#저평가 가치주?

  위에서 잠깐 언급 했던 것처럼, 유니드는 1982년 공장 가동 이후 한 분기도 적자를 낸 적이 없는 기업이에요. 화학 업종 특성 상 꾸준히 우상향 하더라도 드라마틱한 주가 상승은 기대하기 힘들다보니, 그동안은 매출 상승이 주가에 제대로 반영이 되지 않고 있었어요. 실제로 2021년 재무제표 기준 ROE는 20.5%, PER는 업종 평균에도 못미치는 4.89, 그외에 PBR은 0.88,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지표인 PSR은 0.81을 기록했어요.

 

#안정적인 재무상황

실수로 물리더라도 회복 할 수 있는 힘은 안정적인 재무에서 나온다고 하죠? 하지만 재무제표를 보면 숫자가 가득한데, 뭘 봐야 할 지 참 어려워요.😭 많은 시행착오 끝에 현재의 저는 기본적으로 5가지의 기준을 바탕으로 투자를 하고 있어요.(세부적인 수치는 업종에 따라 차이가 있답니다.)

 

▶ 제품(서비스)을 잘 팔고 있는 지 → 재고자산회전율

      *재고자산회전율 : 제품(서비스)이 얼마나 빨리 판매되고 있는가?

 

▶ 제품(서비스)을 판매하고 값을 잘 받고 있는 지 → 매출채권회전율

     *매출채권회전율 : 판매 된 제품(서비스) 값이 얼마나 빨리 현금으로 돌아오는가? 

 

▶ 제품(서비스) 판매 이익이 계속 상승하고 있는 지 → 영업이익증가율

     *영업이익증가율 : 제품(서비스)을 판매한 이익이 꾸준히 상승하는가? → 우상향을 계속 하고 있나?

 

▶ 기업이 현금 유동성이 충분한 지 → 유동비율, 당좌비율

     *유동비율 : 1년 이내에 현금으로 바꿀 수 있는 자산이 충분한가? → 100% 이상

     *당좌비율 : 제품(서비스) 판매 없이도 부채를 갚을 현금이 충분한가? → 100% 이상

 

▶ 기업이 부채가 많지 않은 지 → 부채비율

     *부채비율 : 기업의 자산에 비해 부채가 얼마나 되는가? → 200% 이하

 


(2021년 재무제표 기준)

▶ 재고자산회전율 : 8.42

▶ 매출채권회전율 : 5.10

▶ 영업이익증가율 : 74.9% (일시적 급등 현상으로 보임. 2018년부터 꾸준히 영업이익 증가) 

▶ 유동비율, 당좌비율 : 233.68%, 154.53%

▶ 부채비율 : 35.7%


※ 따로 뭔가 언급하기에는 재무 상태가 매우 양호한 기업이라 피드백을 할 게 없어요. 안정적인 기업인 듯 해요.😀😀

 

 

✔️ 앞으로 성장가능성은 있나요? (성장성📈)

 

#어디에나 들어가는 칼륨

 위에서 잠깐 언급했듯이, 유니드에서 제조하는 가성칼륨과 탄산칼륨은 정말 다양한 산업에 소량이라도 필수적으로 들어가야 하는 촉매제에요. 유니드의 칼륨 제품 경쟁력은 정말 대단해요. 국내 시장 점유율이 90%로 압도적 1위를 차지하고 있고, 글로벌 시장 점유율도 약 30%로 1위(가성칼륨 30%, 탄산칼륨 50%)를 달리고 있어요.

 

 특히 원재료인 염화칼륨을 분해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부산물인 염소와 염산의 국제 가격도 최근 상승을 하고 있어요. 여기서 만들어지는 염소는 유니드 내 또 다른 사업부인 보드사업부에서 MDF나 PVC같은 건설·인테리어 자재에 바로 활용 될 수 있기도 해요. 염산 또한 석유화학🏭, 식품🌽 등 다양한 산업에서 필요로 하는 화학물질이기 때문에 수요가 상당해요.

 

#탄소 모아 수소!

 위에서 언급헀다시피 탄소포집 기술(CCUS)은 세계적인 탈 탄소화의 흐름에 따라 거스를 수 없는 확정 된 미래에요. 여기서 포집 된 탄소와 물💧을 가지고 수전해 기술을 통해 전기⚡와 수소를 생산 할 수 있어요. 또한 최근 원유나 천연가스 가격이 요즘 계속 상승세이기 때문에 더욱 수소 활용에 대한 국제적 관심도가 늘어나고 있어요. CCUS 기술이 더 많은 기업에 적극적으로 도입 될 수록 유니드가 받을 수혜는 더 많아질 듯 해요!

 

#글로벌 수요 증가

 유니드의 재무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각종 지표를 살펴봤지만 기업 매출에 비해 상대적으로 주가는 저평가 받고 있었어요. 작년 하반기 탄소 포집 관련 이슈로 주가가 고점을 찍었지만, 현재는 주가가 고점 대비 약 35% 빠져 있어요. 그 사이에 매출은 더 올랐는데 말이죠. 

 

 여기에 더해서 칼륨 공급망 이슈, 봄/여름에 성수기인 비료의 수요 증가, 그리고 각국의 인프라·건설 수요로 인한 MDF·PVC등 건자재 가격 상승을 바탕으로 좋은 실적이 기대되고 있어요.  

 

 

✔️ 최근 이슈는 없나요?(모멘텀📺🔎)

 

▶ 2021. 09. 08 : 대세 흐름된 탄소제로 시대, 투자 키워드는 ‘탄소배출권·CCUS’

▶ 2022. 02. 22 : 중국, 칼륨 값 폭등에 화학비료 품귀 

▶ 2022. 03. 07 : "러·벨라루스산이 20%"…커지는 비료 대란 우려

▶ 2022. 03. 12 : 러시아 비료 수출 전면 중단

▶ 2022. 03. 14 : 유니드 '염화칼륨 급등'...가성칼륨 급등으로 이어질 것

 

✔️ 전문가들은 뭐라고 하나요?(리포트📜)

 

 올 3월 8일에 한화투자증권에서 나온 리포트에 따르면, 세계 비료시장에서 염화칼륨 가격이 전년 대비 126% 급등했다고 해요. 이에 따라 2022년 매출액을 약 1.4조원으로 예상하는데 이는 2021년 매출 대비 40% 가까이 상승 할 거라고 보고 있는거죠. 또한 올 2월, 세계 3위 염화칼슘 수출국인 벨라루스가 염화칼슘 수출이 중단되면서 불확실성이 늘어나고 있다고 해요. 하지만 위에서 언급했던 것처럼 유니드는 염화칼슘을 전량 캐나다에서 수입하고 있기 때문에 걱정은 없다고 해요!😀😀 

 

✔️  세 문장 요약 해 드림 (정리📝)

 

▶ 유니드는 탄소포집 기술이나 반도체 세정 과정에 필요한 가성칼륨, 그리고 비료나 건설 콘크리트, 식품 첨가물 등에 활용되는 탄산칼륨을 만드는 기업이에요. 석유화학·반도체·비료·태양광·건자재·의약품 등 다양한 산업 전반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촉매제이기도 하죠. 그리고 부산물인 염산과 염소계 제품, 이외에도 건설과 인테리어에 필요한 MDF와 PVC 같은 건자재류를 만들어 판매하고 있어요. 

 

▶ 1982년 공장 가동 이후 단 한 차례도 적자가 없고 매출도 꾸준히 상승하는 우량 기업이지만, 혁신적인 성장을 찾아보기엔 다소 어려운 사업을 하고 있었기에 매출 대비 저평가된 기업이에요.😘

 

▶하지만 최근 금리 인상과 원자재 이슈, 환율 이슈와 전쟁 이슈, 건설·인테리어 호황이 연달아 터지면서 이 모든 이슈에서 비교적 자유로운 유니드가 다시금 재조명받고 있는 상황이에요. 또한 탄소를 줄여나가기 위한 CCUS 기술이 발전 할 수록 유니드가 수혜를 입을 수 있기 때문에 추가적인 성장성까지 부여되어 앞으로가 기대되는 종목이에요.🤩🤩